2025년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전기·도시가스 요금 제대로 절약하는 법
2025년 현재, 정부는 전국 소상공인의 고정비 부담을 덜기 위해 '부담경감 크레딧'이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요금과 도시가스 요금 등 필수 공과금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정책으로, 실제 체감 가능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단, 이 혜택을 누리기 위해선 반드시 '카드로 납부'하는 절차를 정확히 따라야 합니다.
오늘은 카드사별 확인 방법부터, 한전, 구역전기사, 도시가스 각 납부처별로 크레딧을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크레딧을 받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가장 중요한 원칙은 단순합니다. 행동하지 않으면 혜택도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기존 자동이체로 공과금을 내고 계시지만, 이 방식으로는 크레딧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다음을 기억하세요.
- 기존 계좌이체를 해지해야 합니다.
- 크레딧이 지급된 지정 카드로 새롭게 자동납부를 등록하거나, 직접 매월 결제를 해야 합니다.
즉, '카드 결제'가 적용되지 않으면 크레딧도 자동 차감되지 않으니 납부 방식부터 꼭 확인해야 합니다.
카드사별 크레딧 사용 여부 확인 방법
내가 받은 크레딧이 어느 카드에 충전되었는지, 현재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각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에서 잔액과 적용 여부를 조회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BC카드는 1588-4000번, 삼성카드는 1588-8700번, 현대카드는 1577-6000번을 통해 상담이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에서도 로그인 후 '포인트 확인' 또는 '부담경감 크레딧' 메뉴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납부 전 꼭 체크하세요.
카드사 | 고객센터 | 홈페이지 |
---|---|---|
BC카드 | 1588-4000 | bccard.com |
KB국민카드 | 1588-1688 | kbcard.com |
NH농협카드 | 1644-4000 | nonghyup.com |
롯데카드 | 1588-8100 | lottecard.co.kr |
삼성카드 | 1588-8700 | samsungcard.com |
신한카드 | 1544-7000 | shinhancard.com |
우리카드 | 1588-9955 | wooricard.com |
하나카드 | 1800-1000 | hanacard.co.kr |
현대카드 | 1577-6000 | hyundaicard.com |
전북카드 | 1544-0041 | jbcorporation.com |
한전 고객이라면 이렇게 납부하세요
한국전력공사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분들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크레딧 적용이 가능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한전ON 앱이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신용카드 자동이체를 등록하는 것입니다.
한번 등록해두면 매월 고지서에 따라 자동 결제가 이뤄지고, 그 금액에서 크레딧이 자동 차감됩니다. 앱 사용이 어렵다면 123번 고객센터를 통해 전화 납부도 가능하고, 가까운 은행 ATM에서 고지서를 지참해 카드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어요.
한전 이용 고객은 전국 어디서든 동일한 시스템으로 납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비교적 편리한 편입니다.
납부방법 | 이용 경로 | 비고 |
---|---|---|
자동이체 등록 | 한전ON 웹사이트 또는 앱 | 카드 등록 필수, 한 번 설정하면 편리 |
인터넷 납부 | 한전ON PC/모바일 | 고지서 선택 납부 가능 |
ARS 납부 | 123번(고객센터) | 전화 납부 가능, 앱 사용 불편할 때 |
ATM 납부 | 전국 은행 ATM | 고지서 지참 필수, 카드결제 가능 |
구역전기사 고객은 반드시 현장 납부 필요
전국에는 한국전력이 아닌 민간 전력회사가 전기를 공급하는 구역전기사 고객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구 죽곡의 대성에너지, 광명역세권의 삼천리, 대전 학하지구의 CNCITY에너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는 한전처럼 온라인 자동납부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 않아 고객센터나 납부소에 직접 방문해서 실물 카드로 결제해야 합니다. 온라인 납부는 대부분 불가능하므로 고지서 수령 후 방문 전환이 필수입니다.
또한 기존 계좌이체 상태라면 반드시 해지해야 하며, 카드 결제가 완료된 이후에야 크레딧이 적용됩니다. 업체마다 운영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납부 전 반드시 전화로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공급업체 | 공급지역 예시 | 연락처 | 홈페이지 |
---|---|---|---|
대성에너지 | 대구 죽곡지구 | 053-606-1307 | 바로가기 |
삼천리 | 광명역세권 | 02-3397-8515 | 바로가기 |
JB (전북에너지) | 천안청수, 아산탕정 | 041-620-1417 | 바로가기 |
CNCITY에너지 | 대전 학하지구 | 042-336-5600 | 바로가기 |
한국지역난방공사 | 상암, 고양삼송 등 | 1688-2488 | 바로가기 |
도시가스는 지역마다 납부 방식이 달라요
도시가스는 지역별로 회사가 다르고, 납부 방식도 조금씩 다릅니다. 서울지역은 서울도시가스나 예스코, 삼천리 등이 대표적이며, 대부분 홈페이지에서 카드납부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일부 업체는 카드 자동이체를 지원하지 않고, 고객센터 방문 납부만 가능한 곳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원도의 일부 도시가스사는 주택용 계약자만 가능하거나, 모바일 고지서로만 청구되는 곳도 있어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고지서를 받은 뒤, 해당 도시가스사에 전화하거나 홈페이지에 접속해 '카드납부 가능 여부', '자동이체 등록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대표적인 업체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도시가스: 자동이체 가능, 고객센터 및 앱 통해 설정
- 예스코: 자동결제 지원, 홈페이지에서 바로 납부 가능
- CNCITY에너지(대전): 홈페이지 및 고객센터 카드납부 지원
- 전북도시가스: 자동이체 신청 가능, 홈페이지 납부 가능
지역에 따라 정책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고지서 하단의 고객센터 연락처를 참고해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빠르고 정확합니다.
꼭 기억할 3가지 핵심 정리
- 자동이체 상태에서는 크레딧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카드로 직접 납부하거나, 카드 자동납부로 전환해야 합니다. - 구역전기사 고객은 온라인 납부 불가
실물 카드와 고지서를 지참해 고객센터 또는 납부소에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 도시가스는 회사별로 납부방식 상이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크레딧 적용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하세요.
이 세 가지를 숙지하고 미리미리 납부 방식을 점검하시면, 부담경감 크레딧 혜택을 놓치지 않고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2025년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닌, 공과금의 실질적인 절감을 위한 정부지원금입니다. 하지만 이 제도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으면, 사실상 아무 혜택도 받지 못하는 셈이 됩니다.
자동이체 상태 그대로 두면 0원 지원이 되고, 카드로 납부하면 최대 50만 원까지 자동 차감됩니다. 크레딧은 시간과 노력을 조금만 투자하면 사업장의 고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지금 바로 내 납부 방식을 확인하고, 카드 납부로 전환해보세요. 혹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함께 확인해드릴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