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금리와 고물가로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분들을 위한 부담경감 크레딧 사업이 시작되었어요.
4대 보험료와 공과금에 직접 쓸 수 있는 1인당 50만원의 크레딧이 지원되는 이번 제도, 어떻게 신청하고 어디에 쓸 수 있는지 궁금하셨다면 이번 글 꼭 읽어보세요!
신청 대상부터 조건, 실제 사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이란?
이 제도는 소상공인의 고정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정책이에요.
지원 대상자에게 50만원 상당의 크레딧을 지급하고, 이를 통해 공과금(전기, 수도, 가스) 또는 4대 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납부에 사용할 수 있어요.
가장 좋은 점은 매출과 무관하게 대상만 된다면 지급 가능하다는 점이에요.
다만 몇 가지 조건은 꼭 확인해야 하니 아래에서 설명드릴게요.
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
이번 크레딧은 연 매출 0원 초과, 3억원 이하의 소상공인이 대상이에요.
다만, 아래 조건에 해당되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어요.
- 유흥, 도박, 담배 중개 등 사행성 업종
- 가상자산 매매 및 중개업
- 2024년 또는 2025년에 매출이 없는 사업자
- 현재 폐업 또는 휴업 상태인 경우
상시근로자 수는 제한이 없기 때문에 1인 자영업자부터 소규모 점포까지 폭넓게 포함돼요.
자세한 대상 조건은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kr’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답니다.
신청 기간과 요일제 운영 안내
신청은 **2025년 7월 14일부터 11월 28일(금)**까지 가능해요.
하지만 초반 5일간은 5부제로 운영되니,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를 확인하세요.
- 월요일: 4, 9
- 화요일: 0, 5
- 수요일: 1, 6
- 목요일: 2, 7
- 금요일: 3, 8
5부제가 끝나는 토요일부터는 자유롭게 신청 가능하니 일정에 맞춰 여유롭게 진행하셔도 됩니다.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은 PC 또는 스마트폰 모두 가능하고,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kr’ 사이트에서 본인인증을 거쳐 신청할 수 있어요.
절차는 다음과 같아요:
- 카드사 선택: 기존 사용 중인 카드(신용/체크카드) 등록 가능
- 사업자 번호 입력: 1인 다사업자는 1곳만 신청 가능, 공동대표는 주대표만 신청
- 자가 진단 및 약관 동의: 운영 중 여부, 매출 요건, 본인 여부 3가지 체크
- 최종 제출: 본인 명의 휴대폰 인증 후 신청 완료
스마트폰이 익숙하지 않은 분도 신청하기 어렵지 않으니 안심하셔도 좋아요.
사용 가능한 카드와 주의사항
현재 선택 가능한 카드사는 다음과 같아요:
KB국민, NH농협, BC, 현대, 롯데, 우리, 하나, 신한, 삼성카드, 전북은행 KB
중요한 포인트!
공과금이나 4대 보험료 자동이체를 계좌가 아닌 등록한 카드로 전환해야 지원금을 쓸 수 있어요.
기존에 은행 계좌에서 빠져나가던 항목을 카드 자동이체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해요.
사용 기한은 2025년 12월 31일까지이며, 이후에는 남은 금액이 자동 회수돼요.
지원금을 끝까지 다 활용하고 싶다면, 자동이체 등록과 일정 확인은 필수랍니다.
신청 완료 후 확인은 어떻게?
신청을 완료하면 카카오톡 또는 문자로 안내가 오고,
해당 사이트에서도 신청 상태나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요.
- 카드사 변경을 원하면 ‘카드사 정보’에서 수정 가능
- 잘못 입력했다면 ‘취소 후 재신청’ 기능 사용
- 심사 및 지급까지는 보통 2~3일 정도 소요되며, 상황에 따라 조금 더 걸릴 수 있어요
빠르면 신청 후 이틀 만에 사용 가능하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꼭 알아야 할 사용 팁
- 크레딧은 전기, 수도, 가스 요금 납부에도 사용 가능
- 사업주 부담 4대 보험료 납부에 적용됨 (근로자 부담분은 사용 불가)
- 카드 자동이체가 어려울 경우 카드사 고객센터를 통한 연결 가능
특히 크레딧 등록 후 사용이 안 되는 경우 대부분 자동이체 미연결 때문이니,
초기에 설정만 잘해두면 불편 없이 쓸 수 있어요.